리스트 (3)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늘의 파이썬 팁: 리스트 슬라이싱 오늘의 파이썬 팁 3번째 주제는 리스트 슬라이싱입니다. 리스트 슬라이싱은 리스트를 다룰 때 아주 유용한 방법이라서 잘 외워두시고 쓰면 코딩할 때 더 편하게 할 수 있을 거예요. 리스트 슬라이싱은 이름 그대로 리스트를 자르고 변형하는 거예요. 예를 들면 제가 1부터 10까지의 리스트가 있을 때, 그중에서 2부터 6까지만 원하면 리스트 슬라이싱을 사용해서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 수 있는 거죠. 바로 한번 코드를 봐볼까요? 위에 코드처럼 리스트 슬라이싱은 대괄호 안에 값들을 넣어서 사용하는데요. 첫 번째 값은 시작 인덱스, 그다음에 마지막 인덱스, 그리고 3번째 값은 인덱스를 건너뛰기할 값을 넣어주는데요. 여기서 주의할 점은 2번째 값인 마지막 인덱스는 자기 자신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건데요. 지금 예제 코드를 .. 오늘의 파이썬 팁: 리스트에서 특정 값의 갯수 구하기 이번이 3번째인 오늘의 파이썬 팁. 이번에 준비한 함수는 바로 count함수입니다. 파이썬으로 문제를 풀거나 그냥 프로그래밍을 할 때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찾고 싶을 때 어떻게 하셨나요? for문을 돌려서 만약 특정 값이면 변수에 1 더하기? 저는 이 count함수를 몰랐을 땐 이렇게 for문을 돌렸는데요. 공부를 하다 보니까 찾은 게 바로 count함수예요. count함수는 이름 그대로 무언가를 세는 함수예요. count함수에 인수로 넣는 값을 리스트에 몇 개가 있는지 알아내는 함수죠. 한번 예제 코드를 봐볼까요? 위에 코드처럼 count함수는 자신이 알아볼 리스트 뒤에다가 붙이는 함수예요. 지금은 인수로 2를 넣었는데 보면 arr 리스트에도 2가 두 개가 있는 게 보이죠? 다른 코드도 봐볼까요? 이렇.. 오늘의 파이썬 팁: 리스트 정렬하기 안녕하세요. 어제에 이어서 2번째 오늘의 파이썬 팁인데요. 근 일주일 동안에는 리스트 관련 함수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그 이후에 원하 신는 팁이 있으시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오늘의 팁은 바로 리스트 정렬하기입니다. 코딩을 하거나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저는 리스트를 순서대로 정렬해야 되는 경우가 꽤 되더라고요. 맨 처음에는 제가 스스로 for문을 돌려서 정렬했지만 쓰는 것도 귀찮고 비효율적인 것 같아서 한번 인터넷에 찾아보았답니다. 그래서 나온 함수가 sort()! sort는 한국어로 번역하면 구분하다, 분류하다 정도겠네요. 이 함수는 리스트 뒤에 점을 붙이고 쓰는 매서드입니다. 이 함수를 쓰게 되면 그 리스트는 오름차순으로 정렬이 되지요. 이 sort함수는 총 2개의 인수를 가질 수 있는데, 하나는 ke..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