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파이썬 팁

오늘의 파이썬 팁: 리스트에서 값 제거하기

오늘도 돌아온 오늘의 파이썬 팁이에요

오늘은 리스트를 사용한다면 꼭 알아야 할 remove와 pop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를 쓰다 보면 리스트에서 특정 값이나 특정 위치에 있는 값을 제거하고 싶을 때가 있는데요. 그럴 때는 remove 또는 pop 함수를 사용하면 된답니다. 

 

remove 함수

remove 함수는 리스트에서 특정 값을 제거하는 함수인데요. 인수로 그 특정 값을 받고 지정된 리스트에서 찾는 첫 번째 특정 값을 제거한답니다.

remove 함수

이렇게 특정 값을 리스트에서 제거해준다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주지만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발견되는 특정값만 제거하기 때문에 리스트에서 특정값을 모두 제거하고 싶으면 for문으로 일일이 확인해서 제거할 수밖에 없답니다.

 

pop 함수

pop 함수는 리스트에서 특정 위치에 있는 값을 제거해주는 함수입니다. 만약 리스트의 2번째 값을 제거하고 싶을 땐 pop(1)이라고 해주면 리스트의 2번째 값이 제거가 됩니다. pop 함수는 음수 인덱싱도 사용할 수 있어서 마지막 값을 제거하고 싶으면 pop(-1)을 하면 됩니다.

 

pop 함수

마지막으로 만약 remove의 인수로 리스트에 없는 값을 넣거나 pop의 인수로 리스트의 길이를 초과하는 값을 넣으면 에러가 나니까 그걸 주의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오늘 2개의 함수들을 알아봤는데요. remove와 pop 함수는 리스트를 다룰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 함수니 잘 이해하셔서 더 효율적으로 코딩하시길 바랍니다.